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교회의가르침

HOME > 자료모음 > 교회의 메시지

[교황님 강론]주님 부활 대축일 미사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 강론

관리자 | 2025-04-20 | 조회 18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강론
Angelo Comastri 추기경 대독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4월 20일 부활 주일


마리아 막달레나가 무덤을 막았던 돌이 치워져 있는 것을 보고 베드로와 요한에게 말하려고 달려갔습니다. 그리고 혼란스러운 소식을 듣고 두 제자는 밖으로 나와 그리고 – 복음에서 말하기를 – “두 사람이 함께 달렸”습니다(요한 복음 20,4). 파스카의 주인공들은 모두 함께 달립니다! 이 “달림”은, 한편으로는, 주님의 몸을 누군가 가져갔다는 근심을 표현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막달레나와 베드로와 요한의 이 달려감은 예수님을 찾는 자의 열망, 마음의 추진력, 내면의 자세를 말합니다. 그분께서는, 사실, 죽음에서 부활하셨고 그래서 더 이상 무덤에 계시지 않습니다. 그분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합니다. 

이것이 파스카의 선포입니다. 즉,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습니다, 살아 계십니다! 그분은 더 이상 죽음의 감옥에 계시지 않고, 수의에 감싸여져 있지 않고 그러므로 더 이상 그분은 아름다운 한 이야기 안에 가두어질 수 없고 과거의 한 영웅으로 만들어지거나 박물관의 한 방에 있는 잘 전시된 동상으로 생각되어질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분을 찾아야 하고 그래서 우리는 멈추어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움직여야 하고 그분을 찾기 위해 밖으로 나와야 합니다. 삶 속에서 그분을 찾고, 형제들의 얼굴 속에서 그분을 찾고, 일생 생활 속에서 그분을 찾고, 무덤이 아닌 어디서나 그분을 찾아야 합니다. 

그분을 언제나 찾습니다. 왜냐하면 죽음에서 부활하셨다면 그분은 어디에나 계시고, 우리 안에서 사시고, 우리 삶에서 가장 익명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오늘도 자매들과 형제들 안으로 당신 자신을 숨기시고 또 드러내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고통받는 이의 눈물로 우시고 우리들 각자의 사랑의 작은 몸짓들 안에서 생명의 아름다움을 커지게 하시면서 우리와 함께 살아 계시고 우리와 함께 언제나 머무십니다. 

이 때문에 우리에게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을 열어 주고 우리에게 우리들의 삶 속에서 그분을 맞이하도록 준비시켜 주는 파스카 신앙은 정적인 체계화나 종교적인 어떤 안심 속에서 고요하고 편하게 해주는 것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오히려 부활절은 우리를 움직이게 하고 우리를 떠밀어 마리아 막달레나와 제자들처럼 달리게 합니다. 살아 계신 분, 오늘도 현존하시고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를 앞서 가시고 우리를 놀라게 하시는 하느님으로서 살아 계시는 분 예수님을 알아 보도록 “저 너머”를 볼 수 있는 눈을 갖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마리아 막달레나처럼 매일 주님을 잃는 경험을 할 수 있지만 매일 우리는 그분은 찾아질 것이고 그분 부활의 빛으로 우리를 비추시리라고 확신하며 깨달으면서 다시 그분을 찾으러 달려갈 수 있습니다. 

형제 자매 여러분, 여기에 우리들의 삶에서 가장 큰 희망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예수님을 꼭 붙들고 이 가난하고 연약하고 상처 받은 존재를 살아 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분과 함께 영원히 기쁨 안에서 살게 해 주시려고 그분께서 죽음을 이기셨고 우리들의 암울함을 이기시고 세상의 어둠을 이기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향해서 바오로 사도가 말한 것처럼 우리도 또한 뒤에 있는 것을 잊어버리면서 앞에 있는 것을 향하여 살아 가면서 우리도 또한 달립니다(필립보서 3,12-14 참조).

희년은 우리 안에서 이 희망의 선물을 새롭게 하라고, 그 희망 안에 우리들의 고통과 우리들의 초조함을 담으라고, 여정 안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전하라고, 이 희망에 우리들 인생의 미래와 인류의 운명을 의탁하라고 우리를 부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음을 이 세상의 환상속에 멈추어 세워 둘 수 없고 슬픔 속에 가두어 둘 수 없습니다. 기쁨으로 가득 차 달려야 합니다. 예수님을 만나러 달립시다. 그분의 친구가 된다는 헤아릴 수 없는 귀한 은총을 재발견합시다. 생명과 진리의 그분 말씀이 우리들의 여정을 비추시도록 놓아 둡시다. 위대한 신학자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 말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충분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입니다. 정말로 이것 외에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모든 것을 소유합니다”(Les responsabilités doctrinales des catholiques dans le monde d’aujourd’hui, 오늘날 세계 안에서 가톨릭 교리의 책임 Paris 2010, 276)

이 “모든 것”은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우리들의 삶을 희망을 향해 열어 놓으셨다는 사실입니다. 그분께서는 살아 계시고 그분께서는 다시 오늘 우리들의 삶을 새롭게 하십니다. 죄와 죽음의 승리자이신 그분께 우리는 이렇게 기도하고 싶습니다. 

“주님, 이 대축일에 우리는 당신께 이 선물을 청합니다. ”이 영원한 새로움을 살기 위해서 우리가 순수하고 새로워질 수 있는 선물을 청합니다. 오, 하느님, 습관과 피로와 환멸의 슬픈 먼지들을 우리에게서 털어내 없애 주소서. 우리에게 다른 날과는 그날 아침만의 유일한 아무도 손대지 않은 색채들을 바라보는, 놀라움의 눈으로 매일 아침 일어나는 기쁨을 우리에게 주소서. […] 모든 것이 새롭습니다, 주님, 아무것도 반복되지 않습니다. 아무것도 옛것은 없습니다”(A. Zarri, 거의 하나의 기도 )

자매님들, 형제님들, 부활 신앙의 놀라움 안에서 평화와 자유의 모든 기다림을 마음에 담으면서 이렇게 우리는 기도할 수 있습니다. 주님, 당신과 함께 모든 것이 새롭습니다. 당신과 함께, 모든 것이 다시 시작됩니다. 

(번역 정진영 프란치스카 / 2025. 7. 13. 주일 11:12  )


강론 이탈리아어 원문->

강론 미사 사진 동영상(영어) ->